훈민정음 해례본에 담긴 세종대왕의 언어 미덕과 한글 창제 비화를 알아보세요. 1446년 반포된 훈민정음, 우리 말의 아름다움의 기원을 찾아 떠나는 여행.
"훈민정음 해례본:
세종대왕의 언어 미덕과 한글 창제 이야기 (4)"
훈민정음: 한글 창제와 세종대왕의 미덕
한글, 지금 우리가 당연하게 사용하고 있는 언어의 쓰임새로서, 세계에서 가장 독특하고 아름다운 글자 중 하나로 꼽힙니다. 그러나 한글이 탄생하고 발전하는 과정은 그만큼 여정이 고된 것이었습니다. 이 글에서는 한글의 초기 이름인 훈민정음, 그 창제의도, 해설서인 『훈민정음 해례본』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훈민정음은 세종대왕이 창제한 한글의 초기 명칭입니다. 1443년 세종 25년에 창제되어 1446년에 반포되었습니다. 이 명칭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으로, 28개의 낱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훈민정음은 소리글자에 속하며, 배우기 쉽고 읽고 쓰기에 편리한 특징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초기에는 '정음(正音)'으로도 불리었으며, 다양한 명칭으로 불리우면서도 양반들에 의해 홀대를 받았습니다. 그러나 그 간편함으로 널리 보급되어 현대에 이르러서는 한국어를 표기하는 공식 문자가 되었습니다. 세종대왕은 훈민정음을 창제한 후 궁중 학자들에게 해설서인 『훈민정음 해례본』을 발간하도록 명했습니다. 이 책은 훈민정음의 원리와 사용법 등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었으나, 불행하게도 전해지지 않았습니다.
1940년, 약 500년만에 안동에서 『훈민정음 해례본』이 발견되었고 현재는 서울 간송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이 해례본은 1962년에 국보 70호로 지정되었고, 1997년에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록되었습니다.
해례본은 예의, 해례, 서문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예의편은 훈민정음 창제목적과 음가, 운용법 등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해례부분에는 제자원리, 제자기준, 자음체계, 모음체계, 음상 등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초성해, 중성해, 종성해, 합자해, 용자례 등이 담겨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정인지가 쓴 서문에는 한글의 창제이유, 창제자, 한글의 우수성에 대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세종대왕은 훈민정음을 만들면서 "이제 훈민정음을 만드는 것은 처음부터 슬기로 마련하고, 애써서 찾은 것이 아니라 다만 그 (원래에 있는) 성음(의 원리)을 바탕으로 이치를 다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의 지혜와 노고 덕분에 훈민정음은 우리 말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한글은 그 뿌리 깊은 역사와 세종대왕의 미덕을 기리며 현대 한국어의 기반이 된 것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 유네스코와 유산; 훈민정음 해례본 감상해보기
"조선시대의 한글 수난: 어두운 역사와 극복의 이야기 (3)"
#훈민정음 #세종대왕 #한글창제 #한글역사 #훈민정음해례본 #한글의아름다움 #세종25년 #한글반포 #언어미덕 #한글의기원